2023. 10. 9. 15:58ㆍ카테고리 없음
저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도 정적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와 영구 포트폴리오 백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2022년도에 크게 먹인 낙폭, 그리고 주식만 상승하는 시장 흐름에 맞출 수 있는 동적 자산배분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 한다.
전 글부터 보면 좋다.
https://terrykim132.tistory.com/13
포트폴리오 - 3.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https://terrykim132.tistory.com/12 포트폴리오 - 2. 비중 설정 및 백테스트(1) 투자 관련 이야기를 하기 전에, 먼저 앞선 내용을 보고 오는 것이 좋을 것 같다. https://terrykim132.tistory.com/11 포트폴리오 - 1. 투
terrykim132.tistory.com
동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 마켓타이밍, 모멘텀, 추세추종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강세종목, 약세종목 혹은 강세장, 약세장을 구분해서 시장의 추세로 수익을 보는 전략이다. 이러한 추세추종 전략들은 시장의 움직임이 대체로 옳다라는 전제 하에 운용된다. 결국 시장도 여러 사람들이 각자의 이익을 위해서 참여해 돌아가기에 항상 시장의 가격은 현명할 수 없고 각 종목, 그리고 시장에 추세가 생기기에 이러한 전략이 가능한 것이다.
추세추종 투자 방법은 시장의 변동성이 크다면 수익을 내거나 손실을 방어하는 측면에서 강하지만, 횡보장에서 큰 손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시장 상황에 따라 적합한 모멘텀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과최적화에 특히 조심하여야 한다.
-절대모멘텀 자산배분 전략
강세장과 약세장을 구분하여 자산군을 조정한다. 주가의 단순 이동평균을 최근 수익으로 나눠 강세장/약세장을 구분한다. 이동평균의 경우 각 종목의 10개월 이동평균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투자 종목 : SNP500, SHY
투자 기간 : 2007~2023
10개월 이동평균을 사용한 절대모멘텀 전략은 2020년 이후 주식의 강세에 대한 시장 모멘텀과 수익률을 잘 반영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영구 포트폴리오와 나머지 지표들을 그래프로 비교해 보도록 하자.
모두 리벨런싱 주기는 1달로 설정하였고, 동적 자산배분의 경우 리벨런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래프로 단순하게 보면 영구 포트폴리오의 수익성이 다른 포트폴리오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그래프의 Composite은 영구 포트폴리오와 절대모멘텀 포트폴리오를 각 0.5의 비중으로 혼합한 혼합 포트폴리오이다. 두 그래프의 평균을 정확히 그리는 그래프로, 그래프 자체로 보면 최종적인 수익 면에서는 차이가 크지만,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이 꽤 좋아졌다. 절대모멘텀 포트폴리오와 영구 포트폴리오가 불리한 상황이 대부분 다른 것을 보았을 때, 혼합 포트폴리오는 헷징 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여준다. 아래 수치를 참고해보자.
Portfolios | SNP 500(Market Vaule) | Composite Portfolio | Dynamic Portfolio | Permenant Portfolio |
Max Drawdown(MDD) | -54.65% | -18.41% | -22.17% | -17.56% |
Annualized Return (연 복리 수익률) |
8.7% | 6.9% | 8.5% | 4.9% |
Culminative Return (최종 수익률) |
279% | 189% | 269% | 114% |
최대낙폭 MDD의 경우 영구 포트폴리오와의 차이가 1%p 정도밖에 나지 않는 18% 대가 나왔으며 연 복리 수익률은 4.9% -> 6.9%로 대폭 개선되었다. 최종 수익률을 살펴보면, 위험도가 조금 높아진 것에 반해 영구 포트폴리오보다 월등히 많은 수익을 보여준다.
다만 과연 두 형식의 포트폴리오는 상관관계가 많을까?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절대모멘텀 포트폴리오와 영구 포트폴리오의 상관관계를 계산해서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에 가까운 수치는 아니지만, 0.31로 비교적 낮은 결과값을 보여주고 있다. 두 전략의 수치가 0에 가까워질 수록 영구 포트폴리오와 같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하여 다음 포스트에서는 절대모멘텀 이외에 다른 동적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와서 영구 포트폴리오와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다음 포스팅
https://terrykim132.tistory.com/15
포트폴리오 - 5. 동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비교
https://terrykim132.tistory.com/14 포트폴리오 - 4. 동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저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도 정적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와 영구 포트폴리오 백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2022년도에
terrykim13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