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7. 19:35ㆍ투자&경제
투자 관련 이야기를 하기 전에, 먼저 앞선 내용을 보고 오는 것이 좋을 것 같다.
https://terrykim132.tistory.com/11
포트폴리오 - 1. 투자 방향성 세우기
투자 방향성 : 퀀트 투자 *퀀트 투자란? 수치를 기반하여 만든 규칙 등 계량화 가능한 투자 방법을 뜻한다. 퀀트 투자를 하면서 꼭 지켜야 할 것 3가지 1. 투자 자산 비중 설정을 백테스트로 검증
terrykim132.tistory.com
앞에서 적어 두었듯이, 퀀트 투자 방식 중 정적 투자인 사계절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나만의 포트톨리오 비중과 자산군을 구성하기로 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군을 설정하고, 기존 포트폴리오부터 백테스트를 진행하면서 비중을 조정해 나갈 것이다.
포트폴리오 백테스트란? 자신이 설정한 전략이 유요한지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해내는 방법이다. 백테스트를 하는 경우 짧거나 특정한 구간을 과거의 데이터로 삼게 되면 과최적화 될 수 있기에 백테스트를 하기 앞서 몇 가지 규칙을 정해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백테스트 규칙
1. 백테스트의 기간은 최소 30년 이상으로 한다.
2. 설정한 구간에서 비중을 조정해나가는 일은 최대한 삼가한다. (포트폴리오의 평가 방법으로만 활용한다.)
3. 모든 경제 계절 구간에서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한다.
규칙에 대한 근거
1. 백테스트의 기간이 짧다면 포트폴리오를 선택할 때 다양한 경제 구간에 대한 평가를 고려하기 어렵다. 경제는 여러 다양한 흐름을 가지고 있는데 검증 기간을 줄이게 된다면 편향적인 결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2.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설정한 구간에서 특별한 추측이나 의견 없이 비중만 변경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이 부합하는지 백테스트를 통해 "검증" 할 수 있지만, 의견 없이 비중만 조정하여 "특정 구간"에 "과최적화"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미래는 과거와 다르다. 단지, 과거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게 해줄 뿐이다.
3. 경제 구간에 따라 특정한 역사 흐름의 결과가 반영되어 있는 구간들이 있다. 포트폴리오가 어떤 특정한 흐름에 치명적이지 않는 지를 고려한다.
백테스트를 진행하는 사이트들은 다음과 같다.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Portfolio Visualizer
Portfolio Visualizer is an online software platform for portfolio and investment analytics to help you make informed decisions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portfolios and investment products. Our suite of quantitative tools covers portfolio modeling and ba
www.portfoliovisualizer.com
https://backtest.kr/asset-allocation
Invest Helper
backtest.kr
포트폴리오 비쥬얼라이저 사이트를 통해 백테스트를 진행할 것이고, 포트폴리오에 원-달러 환율을 반영하기 위해 국내 백테스트 사이트를 다시 한 번 이용하여 둘의 결과를 비교하면서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 사이트의 경우 기간이 짧다.
백테스트 1. 기존 올웨더 포트폴리오
비중 : SNP 30% / TLT 40% / IEF 15% / GLD 7.5% / DBC 7.5%
중요한 내용만 골라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아직 모르는 것이 많기에 추후에 부족한 내용을 더 추가하도록 하겠다.)
Time Period : 기간 설정 방식, 연 단위로 설정
Initial Amount : 투자 초기 자본 설정.
Rebalancing : 달마다 리벨런싱하는 것으로 설정. 편차에 따라 리벨런싱하는 방법도 있다.
Leverage Type : 레버러지 설정. 일단 없음 설정.
Reinvest Devidends : 배당금 재투자. 당연히 남는 현금은 재투자하는 것이 맞다.
Benchmark Ticker : 비교할 기초자산군 설정. SNP 티커를 추종하기 위해 SPY로 설정.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결과 분석
전체적인 포트폴리오와 SNP 지수를 비교하면, 2020년부터 사계절 포트폴리오와 SNP 지수의 수익률 차이가 벌어짐을 알 수 있다.
2020년도 코로롱의 여파는 문제 없이 잘 버텨 준 포트폴리오지만 이후 고공행진한 주식의 수익률을 따라가지는 못 하였다.
MDD, 최대낙폭은 SNP에 반해 30%p 더 양호하긴 하지만, 20222~2023년도 새로운 경제 양상이 펼쳐지면서 낙폭이 심해지고 SNP에 비해 수익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개선사항. 2022~2023년도와 같은 증시 형태 대응 필요함
2022~2023년도의 경우 포트폴리오의 55%의 비중인 채권이 크게 하락한 것이 포트폴리오 부진의 원인이다. 특히 2022년 미국 장기 채권 가격의 경우 고금리 정책으로 인해 30% 하락하였고, 당시 주식 또한 18% 가까이 하락하였기에 포트폴리오가 부진하였다. 대신 하락한 만큼 원자재 부분에서 41%, 20%의 수익률이 발생하면서 포트폴리오 헷징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었다. 다만 원자재와 금의 경우 30% 가까이 하락한 적이 있었고,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군이라고 보기에는 어렵기에 더 큰 비중을 가져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채권의 경우 최근 자이언트 스탭과 같이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가격이 하락하였고, 금리 인상 한계선까지 올라왔다. 그렇기에 채권의 경우 지금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면 저점 매수 효과가 어느정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장기채권의 비중을 줄이기보단 유지하는 편이 장기 수익성 면, 포트폴리오 헷징 면에서 더 좋을 것이다.
다만 당장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조정하는 것 보다는 다른 포트폴리오들은 이 구간, 그리고 전반적인 구간에 대해 어떤 결과를 가졌는지 좀 더 테스트를 해본 다음, 구체적은 트리밍을 해 보도록 하겠다.
https://terrykim132.tistory.com/13
포트폴리오 - 3.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https://terrykim132.tistory.com/12 포트폴리오 - 2. 비중 설정 및 백테스트(1) 투자 관련 이야기를 하기 전에, 먼저 앞선 내용을 보고 오는 것이 좋을 것 같다. https://terrykim132.tistory.com/11 포트폴리오 - 1. 투
terrykim132.tistory.com
'투자&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 7. 더 정확한 데이터 수집(1) (0) | 2023.10.29 |
---|---|
포트폴리오 - 6. 동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비교(2) (1) | 2023.10.24 |
포트폴리오 - 5. 동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비교 (2) | 2023.10.17 |
포트폴리오 - 3.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1) | 2023.10.08 |
포트폴리오 - 1. 투자 방향성 세우기 (2) | 2023.10.04 |